西国および東海北陸の状況 (서일본 및 동해북육 상황)
서일본에서는 新政府軍과 佐幕派諸藩(사막파 여러 한) 사이에 福山藩(후쿠야마 한)을 제외하고 거의 전투가 없었어. 대부분의 藩(한)은 新政府에 항복하고 협력하겠다고 했어. 🇯🇵
東海地方와 北陸地方에서는 尾張藩(오와리 한)이 勤皇誘引使(근황 유인사)를 보내 勤皇証書(근황 증서)를 받게 하고, 중립적인 태도로 新政府와 협력했어. 📝
전반적으로 新政府는 騎士(기사), 弓槍兵(궁창병), 従者(종자)들을 금지하고, 軍事編成(군사 편성)을 통해 각 藩을 현대적인 군대로 강제로 바꿨지. 💥
東海에서는 1월 2일, 新政府가 旧幕府軍(구막부군)이 京都(교토)를 포위할까 봐 우려해서 橋本実梁(하시모토 실량)에게 大津防衛(오쓰 방어)를 명령했어. 🚨
3일, 大津에 大村藩(오무라 한) 병력이 도착했고, 5일에는 新政府가 橋本을 東海道鎮撫総督(동해도 진무 총독)으로 임명했어. 🛡️
그런데 9일에는 彦根藩(히코네 한)이 尊王(존왕)으로 방향을 바꿔서 大津防衛를 돕기로 했어. 이로 인해 桑名藩(쿠와나 한)와의 전투는 피할 수 있었지. 🏰
22일, 四日市(욧카이치)에서 東海道軍(동해도 군)이 도착하자 桑名藩은 전투 없이 항복했어. 3월에는 尾張藩(오와리 한)이 新政府와 협력하기 시작했지. 🇯🇵
尾張藩에서는 20일에 青松葉事件(청송엽 사건)이 발생했어. 이 사건으로 徳川慶勝(도쿠가와 케이쇼)의 명령으로 3명의 중신과 11명의 藩士(한사)가 처형되었어. 😱
青松葉事件(청송엽 사건)
주요 내용:
1868년 1월 20일부터 25일까지 오와리 번에서 일어났어요. 🗓️
오와리 번주 도쿠가와 요시카츠가 '막부파' 가신들을 숙청했어요. ⚔️
14명이 참수되고, 20명이 처벌받았대요. 😱
배경:
요시카츠가 교토에서 '간도주륙'(반역자 처단) 칙명을 받고 귀국 직후 실행했어요. 📜
조정이나 근왕파의 의향이 배경에 있었다는 설도 있어요.
영향:
번 내에서 엄격한 함구령이 내려졌어요. 🤐
메이지 3년에 대사면이 나와 처형된 14명의 명예가 회복됐어요. 🕊️
후에 홋카이도 개척에 관여한 사족 중 이 사건 관계자가 많았대요. 🏞️
사건 이름의 유래:
처형된 와타나베 신자에몬 가문의 별칭 '청송엽'에서 왔어요. 🌿
도쿠가와 요시치카가 1908년경에 사건의 존재를 알고 평생 연구했어요. 📚
작가 시로야마 사부로가 소설 '겨울의 파벌'의 소재로 삼았대요. 📖
이 사건은 메이지 유신 시기의 정치적 혼란과 번 내 권력 투쟁을 상징하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에요
2월이 되면 尾張藩이 다른 藩들에 勤王誘引使를 보내면서, 新政府에 협력하겠다고 선언한 藩들이 많아졌어. 📝 駿府(순후)로 진군하면서 자금 부족이 드러났지만, 큰 혼란 없이 전진했지. 🚶
東山道(中山道)
1월 9일, 岩倉具定(이와쿠라 도모사다)가 東山道鎮撫総督(동산도 진무 총독)에 임명되고, 21일에 京都를 출발했어. 大垣藩(오가키 한)은 鳥羽・伏見の戦い에서 旧幕府軍(구막부군)에 속했지만, 바로 후에 新政府에 협력 의사를 밝혔고, 東山道軍(동산도 군)의 선봉이 됐지.
北陸道
北陸道鎮撫総督(북륙도 진무 총독) 高倉永祜(타카쿠라 나가요)가 小浜藩(오바마 한)의 酒井忠禄(사카이 타다츠네)를 선봉으로 하여 越前, 加賀, 能登, 越中, 越後 등 일본 해안으로 북진했어. 🚢
丹波・山陰道
1月5日, 新政府는 西園寺公望(서원지 공망)를 山陰道鎮撫総督(산인도 진무 총독)으로 임명하고, 薩摩藩(사츠마 한)과 長州藩(장주 한)의 군대와 함께 丹波로 진군했어.
四国の状況
土佐藩(도사 한)에서는 板垣退助(이타가키 다이스케)가 迅衝隊(신속대)를 이끌고 丸亀藩(마루카메 한)과 多度津藩(타도츠 한)와 함께 讃岐(산키)의 高松藩(타카마쓰 한)을 공격했어. 전투에서 高松藩은 항복했고, 伊予松山藩(이요 마츠야마 한)도 27일에 항복하며 四国(시코쿠)은 무혈로 新政府에 통합되었지. 🙌
中国路の状況
1월 9일, 長州藩(장주 한)은 福山藩(후쿠야마 한)을 공격했지만, 福山藩의 家老(가로)들이 長州藩에 협력하고, 勤王(근왕) 의사를 밝혀 항복했어.
九州の情勢
1월 14일, 長崎奉行(나가사키 봉행) 河津祐邦(카와즈 스케쿠니)은 비밀리에 탈출하고, 佐賀藩, 大村藩, 薩摩藩, 福岡藩 등이 長崎会議所를 구성했어. 🏴
2월 말까지 九州(규슈)의 모든 藩이 勤王(근왕)으로 전향하게 됐어.
長崎奉行(나가사키 봉행)
나가사키 부교는 에도 막부 시대의 중요한 관직이었어요.
역할:
나가사키의 행정과 사법을 담당 👨⚖️
청나라와 네덜란드와의 무역 감독 🚢
기리시탄(크리스천) 탄압 정책 실행 ⛪❌
나가사키 항 경비 총괄 🛡️
역사:
1592년에 처음 설치됐어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나가사키를 직할지로 만들면서 시작됐대요.
마지막 봉행은 카와즈 스케쿠니였어요.
1868년 1월 14일, 몰래 도망갔대요. 🏃♂️💨
흥미로운 사실:
에도에 있는 봉행과 나가사키에 있는 봉행 따로 있었어요.
중요한 결정은 에도 막부의 로주에게 물어봤대요.
나가사키 봉행은 일본의 쇄국 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외국과의 접촉을 제한하면서도 필요한 교역은 관리했거든요.
河津祐邦(카와즈 스케쿠니)
에도 막부 말기의 주요 인물이었습니다.
주요 경력:
에조치(홋카이도) 개척에 공헌
외국 봉행으로 활동
관동 군대, 근신 봉행을 역임
나가사키 봉행으로 임명됨(1867년)
나가사키 봉행 시절:
1868년 1월,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막부군 패배 소식을 들음
1월 14일 밤, 영국 선박을 타고 에도로 도주
공금 17,000량을 가지고 도망갔으나, 3,500량은 돌려받음
특징:
"막부의 切り札(비장의 카드)"로 여겨졌으나 나중에는 "夜逃げ奉行(야반도주 봉행)"이라 불림
도주 후 도쿄에서 마차 회사를 설립, 공금을 자본금으로 사용
河津祐邦은 격변기 일본의 복잡한 정세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결국 막부의 몰락과 함께 그의 운명도 바뀌게 되었습니다
徳川慶喜(도쿠가와 요시노부)은 1月15日에 小栗忠順(오구리 타다순)을 罷免(면직)했어. 이후 2月12日에 江戸城을 떠나 上野の寛永寺(우에노의 칸에이사)에서 謹慎(근신)하며 明治天皇(메이지 천황)에게 반항하지 않을 의지를 보였어. 🙏
한편, 会津藩主(아이즈 한주) 松平容保(마쓰다이라 카라마모)는 본거지인 会津(아이즈)로 돌아갔어. 容保는 新政府에 哀訴嘆願書(애소탄원서)를 제출하며 天皇에게 충성하려 했지만, 新政府의 권위는 인정하지 않았고, 武装(무장)은 해제하지 않았어. 💪
新政府는 有栖川宮熾仁親王(아리스가와노미야 아카히토 친왕)을 대총독으로 한 東征軍(동정군)을 구성하고 東海道軍, 東山道軍, 北陸道軍 등 3개의 군을 나눠 江戸로 향했어. 🏰
한편, 旧幕府軍(구막부군)은 近藤勇(近藤勇)이 이끄는 甲陽鎮撫隊(코요 진무대)를 조직해서 甲府城(코후성)을 방어하려 했어. 하지만 板垣退助(이타가키 다이스케)와 伊地知正治(이지치 쇼지)의 新政府軍(신정부군)이 먼저 甲府城을 점령했어. 👑
近藤勇는 偽名(가명)을 사용해서 숨어 있었지만, 결국 新政府에 잡혀 처형되었어. 😱
八王子千人隊(하치오지 천인대)는 3月11日에 八王子(하치오지)에서 항복하고 무기를 제출했어. 💥
東山道軍은 3月8日에 武州熊谷宿(무슈 쿠마가야 숙소)에 도착한 후, 梁田宿(양다 숙소)에서 旧幕府歩兵隊(구막부 보병대) 탈주부대에 기습 공격을 했어. 전투는 旧幕府軍의 패배로 끝났어. 이 전투는 梁田戦争(양전전쟁)라고 불리며, 戊辰戦争(보신 전쟁)의 東日本(동일본)에서 첫 전투였어.
梁田戦争(양전전쟁)
보신전쟁의 일부로 1868년 4월 1일에 일어났어요.
도치기현 아시카가시의 양전숙에서 벌어진 전투예요. 🏯⚔️
주요 내용:
신정부군(사츠마, 조슈, 오가키 번) 약 200명이 구막부군 900명을 기습 👥
이른 아침 짙은 안개 속에서 세 방향으로 양전숙을 포위 🌫️
아침 식사 준비 중이던 구막부군은 불시에 당했지만 격렬히 저항 🍚💥
시가전에서 백병전으로 발전, 오전 10시경 전투 종료 ⏱️
결과:
신정부군 승리 🏆
구막부군 사망자 62명 이상, 부상자 75명 이상 😢
신정부군 사망자 3명, 부상자 6명
양전숙에서 절 1동과 민가 40채 소실 🔥
역사적 의의:
동일본 최초의 전투로 여겨져요.
아시카가 지방의 메이지 유신 시작을 알렸어요. 🌅
현재 사적:
양전전쟁 전사자 묘 ⚰️
메이지 보신 양전역 동군 전사자 추도비 🗿
탄흔의 소나무 (양전공민관 부지 내) 🌲
양전전쟁은 신정부군의 기습 작전이 성공해 짧은 시간에 끝난 전투였어요.
江戸城無血開城
江戸城(에도성)의 無血開城(무혈개성)
新政府(신정부)는 3月6日(3월 6일)에 江戸城総攻撃(에도성 총공격)을 3月15日(3월 15일)로 정했어. 하지만 条約諸国(조약 국가들)은 전쟁이 무역에 나쁜 영향을 미칠까 걱정했어. イギリス公使ハリー・パークス(영국 공사 해리 파크스)는 新政府에 江戸攻撃中止(에도 공격 중지)를 요청했지. 🌍
勝海舟(카츠 카이슈)는 旧幕府(구막부)의 全権(전권)을 받아 西郷隆盛(사이고 타카모리)와 협상을 시작했어. 3月13日(3월 13일), 高輪の薩摩藩邸(고나와의 사쓰마번 저택)에서 협상이 진행됐어. 🏯 西郷(사이고)은 徳川慶喜(도쿠가와 요시노부)의 水戸謹慎(미토 근신)과 江戸城의 明け渡し(개방)를 요구했어. 그 결과, 総攻撃(총공격)은 취소되고 江戸開城(에도 개성)이 결정됐어. 🎉
4月4日(4월 4일)에 勅使(칙사)가 江戸城에 들어가 慶喜의 水戸謹慎(미토 근신)과 尾張家預け(오와리 가문에 맡김)를 전했어. 4月11日(4월 11일), 江戸城은 無血開城(무혈 개성)되었고, 慶喜는 水戸(미토)로 떠났어. 🎩 4月21日(4월 21일)에는 有栖川宮熾仁親王(아리스가와노미야 아카히토 친왕)이 江戸城에 들어가서 新政府의 지배 아래에 들어갔어.
船橋の戦い(후나바시 전투)
船橋의 전투는 보신전쟁 중에 발생한 중요한 전투로, 1868년 5월 24일(음력 4월 3일)에 일어났습니다. 이 전투는 市川・船橋 전쟁이라고도 불리며, 신정부군과 구막부군 간의 충돌이었습니다.
주요 내용:
전투 날짜: 1868년 5월 24일 (음력 4월 3일)
장소: 시모사국 이치카와 및 후나바시 지역
결과: 신정부군의 승리
전투 과정:
새벽 5시경, 구막부군의 撒兵隊가 오카야마 번의 진지를 공격했습니다.
구막부군은 처음에는 유리한 상황이었으나, 신정부군의 반격으로 전세가 뒤바뀌었습니다.
전투 중 시가전이 발생하고, 결국 후나바시 대제신궁이 포격을 받아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신정부군은 최종적으로 후나바시를 완전히 제압하게 되었습니다.
피해:
신정부군 사망자: 20명
구막부군 사망자: 13명
후나바시 지역에서 많은 민가가 불타고, 총 814채가 소실되었습니다.
이 전투는 에도성 무혈 개성 이후 남관동 지역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본격적인 전투로, 신정부 측에 있어서는 구막부군의 에도 탈환 실패와 함께 여러 번들이 신정부에 복종하도록 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房総方面(보소 방향)
新政府軍은 旧幕府軍을 추격하면서 五井戦争(고이 전쟁)에서 승리했어. 🥇
松平正質(마츠다이라 마사타카)는 大多喜城(오타키성)을 無血開城(무혈개성)했어. 이후 佐倉藩(사쿠라번)에 接収(접수)되고, 松平正質는 幽閉(유폐)되었지만, 나중에 所領回復(영지 회복)을 했어. 😌
그 사이, 木更津(키사라즈)에 있던 旧幕府軍의 遊撃隊(유격대)에 합류한 林忠崇(하야시 타다타카)는 脱藩(탈번)해서 遊撃隊에 합류했어.
宇都宮城の戦い
江戸城는 開城(개성)됐지만, 旧幕府方(구막부 세력) 일부는 日光廟(닛코 묘)로 도망가서 新政府軍(신정부군)과 싸우려고 했어. 💥 그들은 下野国日光山(시모쓰케 국 닛코산)으로 향하고 있었지. 香川敬三(카가와 케이조)는 宇都宮(우츠노미야)로 향하면서 新撰組(신선조)와 싸울 준비를 했어. 近藤勇(콘도 이사무)는 捕縛(포박)되어 板橋(이타바시)로 보내졌어. 🏯
新選組(신선조)은 일본의 에도 시대 말기, 즉 막말 시기에 활동했던 무사 집단으로, 주로 존왕양이(尊王攘夷) 사상을 지닌 인물들과 반막부 세력을 단속하기 위해 결성되었습니다. 이들은 일본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조직으로, 특히 메이지 유신과 관련된 여러 사건에 깊이 관여했습니다.
결성 시기: 1863년
주요 인물:
국장: 近藤勇 (곤도 이사미)
부국장: 土方歳三 (히지카타 토시조)
일번대장: 沖田総司 (오키타 소지)
조직의 배경:
에도 막부는 외국 세력의 침략과 내란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황에 처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사들을 모집하여 京都의 치안을 유지하고자 했습니다.
신선조는 초기에는 24명으로 시작했으나, 최대 230명까지 증가했습니다.
주요 사건:
池田屋事件(이케다야 사건): 1864년, 신선조가 반막부 세력을 처치하여 명성을 얻은 사건입니다.
이케다야 사건(池田屋事件)은 1864년 7월 8일(음력 6월 5일)에 일본 교토의 이케다야 여관에서 발생한 중요한 역사적 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신선조(新選組)가 존왕양이파의 사무라이들을 기습하여 대규모 전투로 이어진 사건으로, 일본의 메이지 유신 과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발생 일시: 1864년 7월 8일 (음력 6월 5일)
장소: 교토 산조 기야마치 길의 이케다야 여관
주요 인물: 신선조의 국장 곤도 이사미, 부대장 오키타 소지, 나가쿠라 신파치, 도도 헤이스케
사건 경과: 신선조는 과격한 존왕양이파 사무라이들이 교토에서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이케다야에서 모의 중인 사무라이들을 급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밤 10시경, 곤도 이사미가 이끄는 신선조의 소수 부대가 여관에 돌입하였고, 약 20명의 존왕양이파와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전투 중 신선조는 몇 명의 부대원만으로도 존왕양이파를 상대했으며, 결국 많은 사무라이들이 사망하게 되었습니다.
결과 및 영향:
이 사건으로 조슈 번과 도사 번의 많은 대표 인사들이 사망하였고, 신선조는 명성을 얻게 되었습니다.
문화적 의의:
이케다야 사건은 일본 만화와 소설 등에서 자주 다뤄지며, 신선조의 존재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禁門の変(킨몬의 변): 신정부군과의 충돌로, 신선조는 이 전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禁門の変(킨몬의 변)은 1864년 7월 19일(음력 6월 5일)에 교토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長州藩(조슈 번)과 幕府側(막부 측) 간의 무력 충돌을 의미합니다. 이 사건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장소: 교토의 御所(고쇼) 근처, 특히 蛤門(하마구리문)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배경: 조슈 번은 존왕양이 사상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었고, 이에 반발한 薩摩藩(사츠마 번)과 会津藩(아이즈 번)이 결탁하여 조슈 번의 세력을 제거하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사건의 발단: 조슈 번은 이전에 발생한 池田屋事件(이케다야 사건) 이후, 군대를 조직하여 교토로 진격했습니다. 이들은 공무합체파를 제거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공무합체파(公武合体派)는 일본의 막말 시대에 조정(공)과 에도 막부(무)를 결합하여 막번체제를 재편하고 강화하려는 정치 세력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막부의 권위를 회복하고, 존왕(尊王)을 명분으로 하여 반막부 세력을 억제하고자 했습니다.]
전투 과정:
조슈 번과 아이즈, 사츠마 등의 군대가 교토에서 격돌했습니다.
조슈 측은 한때 고쇼에 접근했으나, 사츠마 번의 지원군이 도착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어 결국 패배하게 되었습니다.
결과 및 영향:
이 전투로 인해 조슈 번의 많은 존왕양이파 인물들이 사망했습니다.
조슈 번은 고쇼를 향해 발포함으로써 朝敵(조정의 적)으로 간주되었고, 막부는 조슈 번에 대한 추격군을 파견하게 됩니다. 이는 第一次長州征伐(제1차 조슈 정벌)의 시작이었습니다.
이 사건은 일본 내전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고, 메이지 유신을 위한 중요한 배경이 되었습니다.
鳥羽伏見の戦い(토바 후시미 전투): 신정부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였고, 이후 신선조는 해체되었습니다.
신선조는 그들의 충성과 무사도로 인해 일본 역사에서 여전히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서 그들의 이야기가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大鳥圭介(오오토리 케이스케)와 旧幕府軍은 市川(이치카와)에서 日光으로 향했어. 도중에 小山(코야마)에서 香川와 만났어. 旧幕府軍은 이 전투에서 勝利(승리)를 거두었어. 그러나 宇都宮城(우츠노미야성)은 新政府軍에 의해 다시 奪回(탈환)되었어. 🎯
上野戦争
上野戦争는 彰義隊(쇼기타이)와의 싸움이었어. 彰義隊는 江戸無血開城 후 上野에서 반항하고 있었어. 新政府軍은 アームストロング砲(암스트롱 포)를 사용해 彰義隊를 공격했지. 💥 彰義隊는 큰 타격을 입고, 전투는 新政府軍의 圧勝(압승)으로 끝났어. 🏆
箱根戦争
東海道(동해도의) 小田原(오다와라)에서는 전투가 없었어. 그러나 林忠崇(하야시 타다타카)와 遊撃隊(유격대)가 房総半島에서 江戸湾을 건너 真鶴半島에 상륙했어. 🏝️ 그들은 新政府軍과 戦闘(전투)을 벌였지. 小田原藩(오다와라 번)은 잠시 佐幕派(좌막파)로 돌아섰다가, 결국 新政府側(신정부 측)에 복속됐어. 그 후 遊撃隊는 海路撤退(해로 철수)했어.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戊辰戦争(보신 전쟁) -3- (0) | 2025.01.11 |
---|---|
戊辰戦争(보신 전쟁) -1- (0) | 2025.01.11 |